사회이슈

미대통령 트럼프 , 중국에 125% 관세 부과

sjay one 2025. 4. 10. 16:45
반응형

트럼프 대통령, 중국에 125% 관세 부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시 한 번 글로벌 무역 질서를 흔드는 강수를 던졌습니다. 중국에는 전례 없는 고율의 125% 관세를 부과하면서도,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에 대해서는 90일간 관세 유예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발표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재확인한 동시에, 미중 무역전쟁의 향방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에는 125% 고율 관세 부과…무역 보복에 대한 강경 대응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관세에 대해 보복성 조치를 취한 중국에 대해 기존 104%의 관세에 추가로 21%를 더해, 총 125%의 초고율 관세를 즉각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중국이 세계 시장에 대한 “존중을 보이지 않았다”는 이유에서 나온 조치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과 SNS를 통해 “중국이 다른 나라를 갈취하던 시대는 끝났다”고 발언하며, 이번 조치가 단순한 경제 보복 차원을 넘어, 국제 무역에서의 공정한 질서 회복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대화의 문을 완전히 닫은 것은 아닙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합의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며 외교적 협상의 여지를 남겨두는 유연한 자세도 보였습니다. 이는 향후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려는 전략적 발언으로 해석됩니다.


한국 포함, 다른 국가는 10% 기본 관세로 유예…90일 협상 기간 부여

한편, 한국을 포함한 유럽연합, 멕시코, 에콰도르 등 대부분의 국가들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보복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차별적인 대우를 받게 되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 국가에 대해서는 90일간 상호 관세를 유예하고, 기본 10%의 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조치에 따라, 한국의 경우 어제 오후 1시부로 발효된 25% 관세 대신 10%의 낮은 기본 관세가 적용됩니다. 이는 미국과의 긴밀한 외교 및 무역 협상 관계가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진 것으로 평가됩니다. 하지만 철강과 자동차 등 품목별로 이미 적용된 25% 관세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기 때문에, 일부 업종은 여전히 고율 관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한국 정부, 미국과 본격적인 무역 협상 진행 중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직후,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을 방문해 본격적인 협상에 돌입했습니다. 정 본부장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우리 입장을 전달하고 관세 조정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그리어 대표는 미국 하원 청문회에 출석해 “한국, 유럽연합, 멕시코, 에콰도르 등이 미국의 문제 제기를 정확히 이해하고, 협상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을 신뢰할 수 있는 협상 파트너로 보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며, 향후 협상 결과에 따라 관세 완화 혹은 철폐의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습니다.


미국 재무부 “관세 유예는 주가 급락 때문 아냐…전략적 시간 확보”

일각에서는 이번 관세 유예 조치가 최근 글로벌 증시 하락에 대한 대응이 아니냐는 분석도 있었지만, 미국 재무부 장관은 이를 부인했습니다. 그는 “이번 조치는 단순히 시장 반응 때문이 아니라, 협상을 위한 전략적 시간 확보가 목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사람들이 관세에 겁을 먹었지만, 상황은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잘 풀리고 있다”며 이번 조치가 **자신의 큰 그림 전략(Big Picture Strategy)**의 일부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지금이야말로 미국이 유리한 위치에서 협상을 주도할 수 있는 적기”라며 낙관적인 전망을 내비쳤습니다.


결론: 90일 안에 협상이 관세 향방을 좌우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관세 발표는 단순한 세율 조정이 아닌, 국제 무역의 흐름을 결정짓는 중요한 분기점입니다. 특히 한국은 90일이라는 제한된 시간 내에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기본 관세 유지 혹은 추가 완화 여부를 결정지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관세 유예는 기업들에게는 한숨 돌릴 기회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외교 및 무역 전략의 정교한 조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정부와 업계 모두가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얼마나 유리한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을지에 따라, 향후 수출입 구조와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앞으로 90일, 한국의 외교와 무역 협상력이 능력을 발휘할지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반응형